전체작품 보기
Clear Mind
AI·Vision 활용 치매 조기진단·예방 웹앱
AI·Vision 활용 치매 조기진단·예방 웹앱 다양한 사회적 문제 중 고령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프로젝트 비침습적 대화 형식의 검사 방식으로 사용자의 자발적이고 주기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결과의 누적으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남창현
랭킹 모아 - 이커머스 플랫폼 랭킹 종합 분석 제공 서비스
이커머스 플랫폼에서의 제품의 랭킹은, 단순히 마케팅을 통한 판매량 뿐만이 아닌, 자연 판매량(올가닉)이 합쳐져 나타나는 중요한 수치입니다. 이에 많은 마케터들이 마케팅 프로젝트를 통한 판매량 수 치와, 랭킹 데이터를 통해 자연 판매량(올가닉)을 분석하 고 있습니다. 하지만 플랫폼별로 실시간으로 바뀌는 랭킹 데이터를 수 작업으로 모아 분석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이에 [랭킹모아]는 주요 플랫폼별 랭킹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를 제공하며, 올가닉 분석, 프로젝트 일정/작업 관 리 등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제공합니다.
AI 삼총사
AI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레벨디자인 시스템
랭체인 기술을 활용해 게임 레벨 디자인을 자동화하고자 한다. 기존 게임은 고정된 스크립트 기반 알고리즘으로 제한된 레벨 디자인만 제공했지만, 랭체인을 통해 플레이 데이터 분석 후 매번 새로운 레벨을 생성,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경험을 넘어선 플레이를 경험할 수 있다.
아세이
AI 기반 재난 안전 정보 제공 서비스, 이음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 지역이 늘어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단적인 날씨 현상이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재난 문자는 재난 발생 사실을 전달하지만,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이나 사고 발생 시 이를 파악하고 대처 방법이나 대피로를 빠르게 확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처럼 변화하는 기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실시간 재난 감지 및 예측 시스템과 재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제공을 통해 빠른 상황 인지와 대피를 지원하는 웹 서비스를 개발하였습니다.
박채영
만인의 두피 : 만두피
‘만두피: 만인의 두피’는 AI를 활용한 두피 상태 분석 및 맞춤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앱입니다. 사용자가 두피 사진을 업로드하면, AI 모델(EfficientNet-B7 기반)이 두피 상태를 분석하고 6가지 중증도 점수와 9가지 유형 중 하나로 진단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관리 방법과 제품을 추천하며, 사용자의 두피 상태 변화 추이를 기록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FeFe
Realistic Rendering with Image-Based Lighting
본 프로젝트는 IBL(Image-Based Lighting)과 Fresnel 효과를 활용하여 사실적인 렌더링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렌더링 과정에서는 Cube Map 기반의 Specular 이미지와 Diffuse 이미지를 사용하여 환경에 기반한 조명을 시뮬레이션하였으며, Fresnel 효과를 적용하여 관찰자의 시야각에 따라 반사율이 변화하는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현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렌더링을 구현하였습니다.
양성호
LLM 기반 교육용 시리어스 게임 '스터디 with AI Tutee'
자기주도학습 방법론 중 동료교수법 및 자기설명 모델을 기반으로 LLM(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한 그룹 스터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리어스 게임입니다. 본 프로젝트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아는 내용을 설명하는 튜터의 역할을 하고, AI는 사용자의 설명을 듣는 튜티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두 자기주도학습 방법론의 학습 내용 이해도 및 메타인지 향상 등 장점은 유지하고 스터디 인원 모집, 양질의 피드백 등 어려움을 해결하며 게임성 요소 추가로 학습 지속성을 담보하고자 하였습니다.
임소연
색각 이상자를 위한 신호등 인식 내비게이션 시스템
색각이상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보조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Mapbox를 활용해 색각이상자가 쉽게 인지하게끔 지도를 커스터마이징했으며, OpenCV 기반의 신호등 인식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실시간으로 신호 상태를 분석했습니다. 인식된 신호 정보는 직관적으로 설계된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되며,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합니다.